본문 바로가기
대한산경표와 신산경표/대한산경표

우리나라 산줄기 분류기준(요약)

by 수헌! 2017. 8. 15.
320x100

우리나라 산줄기 분류기준(요약)

대한산경표, 한국의 주요 산줄기

2017. 8. 13.

산으로 박 흥 섭

 

 

개요

산줄기 체계: 대간-정맥-지맥-(단맥)

* 기맥: 산줄기 체계에서 제외(단순화, , 일정 규모 이상 지맥의 별칭으로 사용 가능)

주요 산줄기: 대간-정맥-지맥

- (전국) 1대간 13정맥

- (남한) 1대간 9정맥 175지맥(주요지맥 25개 포함)

* 북한지역의 지맥은 추후 자유로운 왕래 등 여건이 남한과 동일과 기준으로 정리

기타 산줄기

- 단맥: 20이상~30km 미만의 산줄기(주요 산줄기에서 제외)

* 하한선은 20km로 설정(잠정)

* 단맥의 산줄기 목록은 필요시 추후 작성 검토

- 하한선 미만의 산줄기는 산줄기 체계에서 제외(단순화)

 

백두대간: 백두산 ~ 지리산(천왕봉)

백두대간은 우리 전통 산줄기 인식의 출발점으로 오랜 역사성과 상징성을 인정

남해 또는 진양호까지 연장은 백두대간의 역사성과 불일치

* 세부적인 내용은 별도 설명

 

 

 

정간 정맥

주요 강이 바다로 유입하는 수계 산줄기

- 주요 강의 범위 설정에 따라 정맥의 수가 달라질 수 있음

* (가정) 영산강을 주요 강에 표함시: 영산북정맥, 영산남정맥

- 백두대간에서 직접 발원하지 않는 주요 강도 있음(청천강, 예성강)

* 따라서 정맥을 10대 강이 아닌 8대 강을 기준을 봄이 타당함

정간과 정맥을 구분할 이유와 실익이 크지 않아 정맥으로 일원화

- 낙남정맥을 일부 판본에서는 정간으로 분류

산경표에 산줄기 이름이 있는 주요 산줄기 15(1대간 1정간 13정맥)

- 명칭에 통일성이 없으나 가능한 존중

겹침줄기 문제

- 한남금북정맥, 금남호남정맥 : 주요 강의 겹침 산줄기로 명칭 부여 - 무명1(청북정맥, 청남정맥), 무명2(해서정맥, 임진북예성남정맥):

산경표의 겹침줄기 문제 해결 방안

- (신산경표) 금남호남정맥과 호남정맥은 하나의 산줄기로 두 개의 명칭 부여는 부적절(남한 9정맥을 7정맥으로 개편)

* 만약 연결된 정맥을 통합한다면 분기점부터 길이가 아닌 강의 크기를 기준으로 한남금북정맥을 한남정맥으로 금남호남정맥을 금남정맥으로 통합이 타당할 수 있음

- 겸침줄기를 두 강의 공통 산줄기로 인정하고 산경표에서 명칭이 부여된 한남금북정맥과 금남호남정맥은 그대로 사용하여 변경을 최소화

- 8대 강을 기준으로 청북정맥을 압록남정맥, 해서정맥을 대동남정맥으로 변경하여 무명산줄기 문제 해결 가능

정맥의 끝

- (산경표) 대부분 강의 하구에서 끝나나 다수의 예외가 존재(해서정맥, 한북정맥, 금북정맥, 금남정맥 등)

* 당시의 사상(왕조사회, 도교, 풍수지리설, 성리학)과 생활(행정, 교통, 문화 등), 산줄기의 세력을 반영

- 산경표가 나온 이후 200여년간 급격한 시대적 변화(사상, 생활권)로 생활권 등에 의한 예외를 설명하기 어려워 자연적 지형(주요 강의 수계)을 기준으로 변경이 불가피

- 정맥을 끝을 모두 강의 하구로 통일(신 산경표와 동일)

* 세부적인 내용은 별도 설명

 

기맥 지맥

(기맥)

기맥은 조석필이 1997태백산맥은 없다에서 사용을 제안

- 10대강이 아닌 본류를 구획하는 산줄기: 영산북기맥, 땅끝기맥

- 지류를 구획하는 세력이 큰 산줄기: 한강기맥, 압록기맥

박성태는 신 산경표에서 대간, 정맥에서 분기한 산줄기로 100km 이상 이면서

- 유역면적 3,300km 이상의 강(지류 포함)을 구획하는 산줄기(영산기 맥, 한강기맥, 진양기맥 등)

- 산경표의 정맥이 주행이 바뀌면서 가지산줄기가 된 산줄기(금북기맥, 금남기맥)

- 육지의 최북단과 최남단으로 가는 산줄기(땅끝기맥 등)

신경수는 100km 이상 등(남한 18)

고래 김영환은 기맥이라는 용어 미사용(지맥으로 분류)

대한산경표는 기맥을 별도의 산줄기 등급으로 미사용(주요지맥에 대한 별칭으로 사용 가능)

- 역사가 짧고 산줄기 체계 단순화 원칙에 배치

- 각자 기맥의 기준이 상이하여 혼란을 초래하고 실익이 크지 않음

* 다만, 지맥 중에서 길이 긴 산줄기를 주요지맥으로 구분하고 편의 상 기맥이라 부를 수 있으나 별도의 산줄기 등급으로 보지 않음

* 주요지맥은 편의상 정맥 중에서 가장 짧은 금남호남정맥 보다 긴 70km 이상의 산줄기로 정의(, 화원지맥의 모 산줄기인 해남지맥 포 함)

(지맥)

지맥은 30km 이상인 정맥 이하의 모든 산줄기

- 산줄기의 길이 만을 기준으로 하며 관련된 하천의 규모나 모 산줄기 의 등급, 육지와 섬을 구분하지 아니함(지맥의 개념을 널게 정의, 용 어의 단순화, 섬 산줄기 차별 부당)

- 1일 보행 거리 등을 감안하여 20km(50) 이상을 지맥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이나, 이미 30km 이상으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기준변경 시 혼란과 지맥의 다수 늘어나는 부작용을 감안하여 30km 이상으로 유지(, 다수의 공감대 형성 가능 시 변경 검토)

- 용어는 정맥 이하의 산줄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맥을 선택

주요지맥

- 지맥 중에서 길이가 70km 이상이 지맥(25)

* 70km는 정맥 중에서 가장 짧은 금남호남정맥(70.3km) 보다 긴 지맥 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줄기를 모두 포함(전체 지맥의 14%)

* 화원지맥(83.5km)이 주맥지맥에 해당함에 따라 화원지맥의 모 산줄 기인 해남지맥(64.7km)은 예외적으로 주요지맥에 포함

- 소양, ()한강, 평창, 홍천, 섬강, 제천, 내성, 황강, 회천, 남강, 반 변, 금호, 위천, 밀양, (), 태안, 논산, 만경남, 영산북, 영산남, 해남, 화원, 고흥, 여수, 제주

- 기준이 불명확하고 상이한 기맥의 대체 개념으로 사용 가능

- 산경표의 정맥이 주행이 바뀌면서 가지산줄기가 된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태안지맥, 논산지맥)

지맥의 유형을 정형화하고 주행의 우선 순위를 설정

- (1유형: 합수점형) 좌우로 서로 다른 물줄기 구분하면서 하천의 본류 와 지류가 만나는 지점에서 끝나는 산줄기

* 예시) 가평지맥(화악지맥): 한북정맥에서 분기하여 지류인 가평천과 가평천의 본류인 북한강을 구분하면서 가평천에 북한강에 합류하면 서 소멸하는 산줄기(하천의 하류를 기준으로 지류가 좌측에서 우측의 본류에 합류하는 경우에는 지류의 우측 산줄기)

- (2유형: 울타리형) 하천(지류 포함)의 수계 산줄기로 1유형이 아닌 산 줄기

* 예시) 제천서지맥(천등지맥): 섬강지맥(백운지맥) 오두산 1.8km 지점 에서 십자봉 방향으로 갈라진 산줄기의 우측(분기점 기준) 물줄기는 구룡천이 되어 남한강에 합류하나 이를 구분하는 산줄기는 30km 미만으로 지맥에 해당하지 않고, 좌측의 물줄기는 원서천을 거 쳐 제천천이 되어 남한강(충주호)로 흐르므로 제천천의 좌측(하류기 준)을 감싸는 산줄기가 지맥이 됨(합수점 아님, 울타리)

* 해안지역에서 육지가 바다로 크게 돌출된 지형에서는 좌우의 하천을 기준으로 2유형의 산줄기가 있는 경우에도 산줄기의 단절을 방지하 고자 우선순위에 예외를 인정하여 3유형으로 분류(예시: 태안지맥, 변산지맥, 해남지맥, 장흥지맥)

* 바다로 합류하는 하천의 하류가 만의 형태를 이루고 좌우에 바다로 돌출된 산줄기가 있는 경우에는 산즐기의 끝을 탄력적으로 적용(예시: 형산북지맥(비학지맥))

- (3유형: 산줄기형): 하천의 좌,우 산줄기가 모두 30km 미만으로 산세 를 따라 길게 연결한 산줄기 또는 수계와 무관하게 해안의 돌출된 지 형으로 뻗은 산줄기

* 예시) 신선지맥, 백하지맥, 태안지맥(금북기맥), 변산지맥, 해남지맥 (땅끝기맥)

- 내륙에서 끝나는 산줄기는 주행방향에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되 바 다로 향하는 산줄기는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탄력성을 부여

지맥의 명칭 부여 방법

- 원칙적으로 산줄기와 관련된 물줄기의 명칭을 사용(산줄기와 물줄기 의 상관관계 파악 용이)

- (1유형) 서로 다른 하천이 합수점에서 만나면서 끝나는 지맥은 소멸 하는 하천의 명칭을 지맥의 명칭으로 사용

- (2유형) 소멸하는 하천의 명칭에 동서남북의 방향을 붙여서 사용

* 방향은 합수점(하류)을 기준으로 산줄기의 방향이나 산줄기의 전체 적인 방향을 고려

- (3유형) 산줄기의 속한(분기봉 포함) 대표적인 산의 명칭을 사용(높 이 또는 지명도)

* 세부적인 내용은 별도 설명

 

기타 산줄기(단맥)

지맥 이하의 짧은 산줄기는 용어는 단맥으로 통일

- 단맥의 길이 하한선을 20km로 설정(잠정)

* 지맥의 목록은 필요시 추후 작성 검토

- 단맥의 명칭은 필요시 지맥과 유사한 방법으로 부여 가능

단맥은 산줄기체계에는 포함하되 주요산줄기에서 제외

- 단맥 이하는 산줄기체계에서 배제(산줄기의 단순화)

 

대한산경표, 남한의 주요 산줄기 목록(별지 참고)

위의 기준을 적용하여 남한의 주요 산줄기를 1대간 9정맥 175지맥(주 요지맥 25개 포함)으로 정리

- 대한산경표와 신 산경표 산줄기 비교가 용이하도록 작성

산줄기별 경로 및 세부적인 설명을 추후 작성 예정

다음카페(http://cafe.daum.net/daehansan)(검색어: 대한산경표)

 

대한산경표와 신 산경표의 차이점(대표적인 사례)

예시

신 산경표

대한산경표

비 고

1

신 백두대간

백두대간

백두대간의 남쪽 끝은 지리산(천왕봉).

백두대간의 꼬리(영신봉~노량) 반대

2

호서정맥

한남금북정맥+금북정맥

산경표에 명칭이 있는 겹침줄기 통합 반대. 만약 연속된 정맥을 통합한다면 금강 보다 큰 한강(한남정맥)이 우선

3

보현일부+팔공일부+황학지맥

금호지맥

낙동정맥 가사령 분기점에 금호강/낙동강과 합수점이 주된 산줄기

4

진양기맥일부+우봉지맥

남강지맥

남덕유산 분기점에서 남강/낙동강 합수점이 주된 산줄기

5

영월지맥일부+백운지맥

섬강지맥

한강지맥(기맥) 삼계봉에서 섬강/남한강 합수점이 주된 산줄기

6

땅끝기맥

영산남지맥일부+해남지맥

호남정맥 분기점에서 영산강의 남쪽 수계 울타리가 주된 산줄기

7

금남기맥일부+노성지맥

논산지맥

금남정맥 금만봉 분기점에서 논산천 북쪽 수계 울타리가 주된 산줄기

8

춘천지맥

홍천지맥

산줄기의 끝이 춘성대교가 아닌 홍천강/북한강 합수점

9

황병지맥

오대지맥

산줄기의 끝이 아우라지(송천의 좌측 울타리, 합수점 아님)가 아닌 오대천 /한강(골지천) 합수점이 주된 산줄기

 

산행약력

1977.8: 지리산 종주(화엄사~중산리)

1981.1: 주말산행 시작(수도권지역, 독도산행, 개척산행, 단독산행)

2000.5~2002.2: 백두대간 종주(남진)

2002.4~2005.10: 백두대간 종주(북진)

2009.11: 한국 100명산 완등(산림청 선정)

2009.12: 1대간(왕복) 9정맥 종주

2018.12: 전 지맥 종주 완료(예정)

 

2017.8.13.

산으로 박 흥 섭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