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여행

[보길도]<2>...세연정,동천석실,송시열 글씐바위

by 수헌! 2009. 5. 24.
320x100

 

<고산 윤선도 유적>

완도읍에서 서남쪽으로 12km쯤 떨어진 보길도는

상록수가 우거지고 물이 맑아 자연경관만으로도 아름다운 곳이지만,

고산 윤선도(1587∼1671)의 유적으로 더욱 알려진 곳이다.

 

고산 윤선도, 그의 나이 51세 때인 조선 인조 15년(1637)에

왕이 남한산성에서 청나라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는 세상을 보지 않으리라 하고 제주도로 향해 가던 중,

상록수가 우거진 아름다운 섬 하나를 발견하고는

그 섬에 터를 잡았는데, 그 곳이 바로 보길도이다.

 

섬의 산세가 피어나는 연꽃을 닮았다고 하여 부용동이라 이름짓고,

섬의 주봉인 격자봉 밑에 낙서재를 지어 거처를 마련했다.

 

그 후 두 차례의 귀양을 가고 벼슬을 하여 서울로 가거나 해남의 금쇄동 등 다른 곳에서 지내기도 했으나,

결국 85세로 낙서재에서 삶을 마치기까지 섬 여기저기에 세연정,무민당, 곡수당 등 건물을 짓고,

바위 등 자연의 경승에 대(臺)의 명칭을 붙였는데, 이 정자와 대가 모두 25여개소에 이르며

오우가, 산중신곡 등 많은 가사와 유명한 어부사시사를 비롯하여 자연을 노래한 많은 시를 남겼다.

 

<세연정>

세연이란 '주변경관이 물에 씻은 듯 깨끗하고 단정하여 기분이 상쾌해 지는 곳'이란 뜻으로

[고산연보]에서는 1637년 고산이 보길도에 들어와 부용동을 발견했을때 지은 정자라 하고 있다.

정자의 중앙에 세연정, 동쪽에 호광루, 서쪽에 동하각, 남쪽에 낙기란 이란 편액을 걸었으며,

또 서쪽에는 칠암헌이라는 편액을 따로 걸었다.

* 세연정
보길도는 세연정에서 보는 인공정원의 풍경과 동천 석실에서 내려다보는 전망,

어부사시사의 현장인 예송리 해안에서 보는 바다 풍경들이 대단히 아름다운 빼어난 섬이다.

 

보길도 이곳 부용동은 조선의 시인 고산 윤선도(1587~1671)선생이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숨어살던 유서 깊은곳이다.

 

병자호란의 국치와 추잡한 당쟁의 소용돌이를 피해

부용동의 아름다운 절승에 의탁하여 자기구제와 초속적 자유를 얻었다.

 

부용동은 고산이 51세때(1637년) 들어와 85세(1671년) 돌아가실 때까지

13년간 살면서 7차례나 드나들었고, 어부사시사 40수와 수십편의 한시를 창작하였다.

 

고산의 부용동 생활은 격자봉 밑에 낙서재와 무민당을 짓고

이곳에서 생활하면서 학문에 몰두하고 제자를 가르치면서 세상의 근심을 잊었다.

 

곡수당 지역은 초당, 석가산, 평대, 연지, 다리, 화계, 월하탄이 조성되어 고산이 휴식하던 장소이다.

곡수당 옆에는 서재가 건립되어 고산의 아들들과 제자들이 살던 곳이다.

동천석실은 낙서재 건너편 바위산 험한 경승지에 자리잡고 있다.

쳔여평 공간에 석담, 석천, 석폭, 석대 및 희황교와 한칸 짜리 목조건물인 동천석실이 있다.

이곳은 고산이 책 읽고 사색하며 신선처럼 소요하던 은자의 처소였다.

 

세연정 지역은 3천여 평의 계원으로 부용동 입구에 있다.

세연정을 중심으로 조우에 연못 (205여 평)과 계담(600여 평)과

판석재방과 동대, 서대, 옥소대, 칠암, 비홍교와

동백나무, 대나무, 소나무 숲이 울창하게 우거져서 아름답다.

 

윤선도 선생은 이곳에서 음악을 연주케하고 기녀들로 하여금 동대, 서대에서 춤을 추게 하거나

동자가 배를 타고 어부사시사를 노래 부르게 하기도 하고,

때로는 낚시도 즐기던 곳이다.

또 고산의 유적으로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행사인 유상공수를 행하던 낭음계,

용이 승천하는 승용대, 연정이 있었던 조산과 여름에도 한기를 느낀다는 하한대,

고향을 그리워하며 임금이 계신 궁궐을 바라보던 혁희대,

석전, 미산 등 경승의 산봉우리마다 고산은 상징적 이름을 붙였다.

부용동 유적은 고산의 기발한 착상과 절묘한 자연과의 조화성으로

구성된 한국 최고 최대의 별서조경 유적이다.

* 판석보
우리나라 조원 유적 중 유일한 석조보로 일명 '굴뚝다리'라 부르며,

세연지의 저수를 위해 만들었으며, 건조할 때는 돌다리가 되고 우리에는 폭포가 되어 일정한 수면을 유지하도록 만들었다.

보의 구조는 양쪽에 판석을 견고하게 세우고 그 안에 강회를 채워서 물이 새지 않게 한 다음 그 위에 판석으로 뚜껑돌을 덮었다.

* 혹약암
세연지 계담에 있는 칠암 중의 하나이다.

이 바위는 '혹약제연'이란 효사에서 따온 말로, "뛸 듯하면서 아직 뛰지 않고 못에 있다"는 뜻이다.

즉 혹약암은 마치 힘차게 뛰어갈 것 같은 큰 황소의 모습을 닮은 바위를 말한다.

* 서대
현재는 나선형으로 세단이 남아 있으며, 그 규모는 축단의 한 변이 7.5m정도의 정방형이며,

그 높이는 2.2m에 이른다. 동대와 대칭을 이루고 있는 곳을 동대에서 행했던 군무 행위를 했던 곳으로

춤을 추며 돌면 정성에 오르도록 나선형 계단을 이뤘다.

* 회수담
세연정 동쪽 축단 밑에 계담에서 인공연못으로 흘러드는 터널식 수입구가 있다.

계담쪽에서 물이 들어가는 수구는 다섯구멍이며, 인공 연못쪽으로 나오는 수구는 세구명이다.

이를 '오입삼출'이라 하는데, 이 구조는 아주 독특한데

물막이 석축에 다섯곳의 흡수구를 만들어 흐르는 물을 받아들이되,

배출하는 구멍은 세곳만 만들어 들어오고 나가는 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이다.

* 비홍교
[보길도지]에는 '세연정이 못의 중앙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정자 서쪽, 제방 동쪽 겨우 한 간쯤의 넓이에 물이 고여 있으며,

중앙에는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형상의 암석이 있다.

거북이 등에 다리를 놓아 누에 오른다고 기록하고 있어 이 다리를 비홍교라고 불렀다.

지금은 그 자리에 잡석을 쌓아 호안과 방단이 연결되어 있어 흔적을 찾기가 어렵다.

* 사투암
세연정 주변의 잘생긴 바위 일곱을 지칭하여 칠암이라 불렀는데,

그 중 하나인 사투암은 '옥소대를 향하여 활을 쏘는데 발받침 역할을 하였다.'고 전해지는 바위로 연못쪽이 들려진 모습이다.

들려진 부분에 발을 딛고 옥소대쪽 과녁을 향하여 활을 쏘았다는 전설이 전해져 오고 있다.

 

 

 

 

 

 

 

 

 

 

 

 

 

 

 

 

 

 

 

<동천석실>

동천석실은 주자학에서 신선이 산다는 선계세상으로

부용동을 한눈에 굽어 볼 수 있으며

낙서재의 정면에 바라보이는 산자락에 있다.

 

3,306m²(1,000여평)의 공간에 한칸 정자와

석문, 석담, 석천, 석폭, 석전을 조성하고 차를 마시며 시를 지었 던 곳이다.

특히 석담에는 수련을 심고 못을 둘로 나누어 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구멍을 파고 다리를 만들어 '희황교'라 칭하였다.

지금도 석실앞에는 도르래를 걸었다는 용두암과 차를 끓여 마신 차바위가 남아있다

 

 

 

 

 

 

 

 

 격자봉 정상은 구름속에

 공사중인 낙서재와 곡수당이 내려다 보입니다.

 

 

 

 

<송시열 글씐바위>

 송시열글쓴바위는 보길도의 선백도마을 앞 바닷가의 암벽을 말한다.

이곳은 선조~숙종조 의 대유학자인 우암이 왕세자 책봉문제로 관직이 삭탈되고

제주 유배길에 올라 경치가 좋 은 이곳에서 잠시 쉬며 임금에 대한 서운함과

그리움을 시로 새기어 바위에 새겨놓은 것이다.

 

『여든세살 늙은 몸이 만경창파를 해치며 바다를 가는 구나......』

자신의 외로운 처지를 시로 표현하여 바위에 새겨놓았다.

 

이후 우암의 후학인 임관주라는 사람이 1707년 같은 바 닷길로 유배를 가다 이곳에 들러

『동국의 』라는 오언 절구를 남겨 오늘에 전하고 있다.

 

글쓴바위는 보길도와 소안도 사이 해협으로 소안도가 손에 잡힐 듯이 바다에 떠있으며

 주변 은 해조류가 풍부하고 해식애가 발달한 천혜의 바다낚시터이다.

『청산(靑山)도 절로 절로 녹수(綠水)도 절로 절로
산 절로 수 절로 산수간에 나도 절로
그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 하리라 

늙고 병든 몸이 북향(北向)하여 우니노라
님 향하는 마음을 뉘 아니 두리마는
달밝고 밤 긴 적이면 나뿐인가 하노라』 

『임이 헤오시매 나는 전혀 믿었더니
날 사랑하던 정을 뉘 손에 옮기신고
처음에 뮈시던 것이면 이대도록 설우랴

팔십세 늙은 몸이 거치른 만리길을 가노라.
한마디 말이 어찌 큰 죄가 되어 세 번이나 쫓겨나니 신세만 궁하구나.
북녘하늘 해를 바라보며 끝없이 넓은 남쪽바다 믿고 가느니 바람뿐이네.
초구(임금이 하사한 옷)에는 옛은혜 서려 있어 감격하여 외로이 눈물 흘리네』

   ... 한국 관광공사 ...

 

 

 

 

 

 

 

 

 

 

 

 

 탁본의 흔적

 

 

 밟을라...

320x100